내게도 일어날수있는 오버스티어 언더스티어 대처방법은 ?
운전중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현상
오버스티어(over steer) 와 언더스티어(under steer)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방법을 알아보려고해요 !
우리가 운전을 하다보면 수 많은 코너길을 만나게되는데요
눈 또는 빗길이나 아니면 내가 조금 속도를 내어 코너링을돌때에 내가 의도한 것보다
차의 방향이 더 많이 돌거나 반대로 내가 의도한 만큼 차체가 돌지않고 바깥쪽으로 밀려난 경험있으신가요?
전자의 경우 오버스티어 후자의 경우 언더스티어 라고합니다. 둘은 반대라고 생각하시면되며
오버스티어는 후륜차량에 언더스티어는 전륜차랑에서 더 많이 일어나지만
' 전륜=언더스티어 , 후륜=오버스티어 ' 라고 말씀하시는분들이 많이 계신데 올바른 사실이 아닙니다.
먼저 오버스티어와 언더스티어 현상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코너에 진입하기전 충분히 감속하는것입니다.
* 대부분의 오버스티어와 언더스티어의 발생 원인은
코너에 들어설 때의 속도에 의해 발생합니다 *
그래도 오버스티어현상이 발생하였을때는
차량의 후미가 틀어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주었다가 다시 원래 진행방향으로 돌려주면되는데
이런 방법을 카운터스티어링이라고 합니다
( 방송등에서 카운터친다는 말을 들어보셨을겁니다 )
오버스티어 현상이 일어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차가미끌어지는걸 느껴 놀라고 당황하게되는데
그럼 본능적으로 급브레이크를 밟게되지만 이는 정말 위험한 행동입니다.
급브레이크를 밟게되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관성의 힘이 작용하여 더 빨리 스핀이 발생합니다.
설사 카운터스티어를 하였다고 해도 카운터스티어에대한 언더스티어가 발생하게되어
전륜접지력까지 잃게되면서 운전자가 제어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에
무조건적인 감속보다는 적당한 엑셀링을 해주면서
접지력을 회복시킬수있도록 차량의 후미가 미끌어지는 정도만큼 핸들을 반대로 돌렷다가
다시 진행방향으로 돌려주는 위에 말씀드린 카운터스티어 기법을 사용하면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카운터스티어의 경우 본능적으로 사용하는 운전자도 많지만
상황에 알맞게 그때그때 잘 조향해줘야하는등 난이도가 있는 기술입니다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무작정 카운터 스티어를 사용하다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가장 최선인 충분한 감속을 먼저 실천하는게 좋습니다.
오버스티어의 경우 카운터스티어등 어려운조작이 필요한 반면
언더스티어의 경우 대부분 속도 조절만으로 해결이 가능하기에
오버스티어보다 언더스티어가 훨씬 더 제어하기 쉽다는 특성때문에
제조사에서 후륜구동 차량도 언더스티어 성향이 나타나게끔 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줄이기위해 엄청난 기술력이 탑재되어있는 차량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것들입니다
ABS (Anti-lock Brake System) 브레이크 잠금 방지 장치
급제동 또는 미끄러운노면등을 만낫을 때 브레이크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바퀴가 미끄러져 제어력을 잃지않게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잡았다 풀었다 해주는 기능입니다
VDC (Vehicle Dynamic Control) 차체자세 제어장치
운전자가 따로 제동을 하지 않더라도 미끄러운 노면을 만나거나 코너링중
오버스티어 또는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면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하거나
바퀴에 구동력을 조절해 위험한 상황을 방지해주는 기능입니다.
오버스티어 언더스티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언제든 우리에게 일어날수있는 정말 위험한 현상입니다
저희가 준비할수있는 가장 쉬운 방법
과속하지말고 늘 안전운전합시다 !
감사합니다 ~